Yiksan0315's Blog

Gamma Distribution

  • or
  • 감마 분포

# Tag:


Gamma Distribution(감마 분포)

지수 분포의 일반화된 형태.

일 때, 번째 사건이 발생하기 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 지를 의미한다. 그 때 그 PDF는

  • α (Shape parameter): 분포의 모양을 결정. 일 때 지수 분포와 같다. 정수라고 하면, 몇 번째 사건인지를 의미하기도 한다.
  • λ (Rate parameter): 단위 시간당 사건 발생률. 지수 분포와 동일하다.

위 PDF는 Gamma function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로 나누는 건 적분하였을 때 1이 되도록 하여 확률의 Axiom을 만족시키게 하기 위해서이다.

Gamma function

위 함수에서, 적분 안의 식을 이용해 감마 분포를 만든다. 위 식을 이용해 그대로 만들면, 이므로, 변수 변환을 이용해 로 두고 구하면 맨 위의 일반적인 식이 나온다.

Gamma function의 특성

감마함수는 오일러 적분의 형태로 정의된다.

감마 함수는 팩토리얼을 실수 범위까지 확장한 것과 동일하다. 즉, 가 정수일 때는

로 정의된다.

팩토리얼을 실수 범위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팩토리얼을 하나의 함수로 볼 때 각 정수에 해당하는 점을 잇는 곡선은 어떻게 그려져야 할 지의 문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Occam's Razor에 의하면, 실수 범위는 가장 단순하고 일반적이게 그려지며, 확장에 있어 어떠한 추가적인 가정도 필요하지 않는 것이 제일 타당할 것이고, 이가 바로 Gamma function이다.

  1. 기본값: 을 만족.
  2. 로그 볼록성 (Log-Convexity): 가 볼록 함수(convex function)
  3. 재귀적 관계: 모든 양의 실수 에 대해 .
    1. 위 식은, 라플라스 변환에 의해 증명될 수도 있다.
    2. 을 모두 만족하는 건 Gamma function이 유일하다.

Strilin's Formula

이 커질수록 위 식은 부합해지며, 이는 곧 오일러 상수나 파이 같은 식이 팩토리얼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를 만족한다.

Poisson process

감마분포와 지수 분포가 맞닿는 지점을 의미한다.

지수 분포는 푸아송 과정(Poisson Distribution)에서 첫 번째 사건이 발생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 된다.

감마 분포는, 푸아송 과정에서 번째 사건이 발생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게 된다. 즉, 지수 분포의 일반화된 형태이며 이는 Geometric Distribution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의 관계와 비슷하다.

Proof with MGF

즉, 일 때 이는 에 대해 와 동일하다. 각각의 지수분포는 서로 독립적이다. (즉, 독립적인 사건)

  1. MGF가 동일하다면 서로 같은 확률 분포이다.
  2. MGF를 곱하는 것과, 각각의 확률 변수를 더해 MGF를 구하는 건 동일하다. (합성곱의 성질)

따라서,

  1. 합성곱의 성질에 의해 이므로 과 동일하다.
    1. , 로 변환하면

따라서, 둘의 MGF가 같으므로 둘은 같은 분포. 즉, 지수 분포 확률 변수의 합은 감마 분포 확률 변수와 동일하다.

Expectation and Variance

평균과 분산 계산을 위해 미리 MGF의 일반적인 형태를 계산해 놓는다.

이라 하고, 나중에 변수 변환을 통해 계산한다.

Expectation

변수 변환 적용하고 나면 평균은 .

Variance

마찬가지로 변수 변환 적용하면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